OSI 7계층

네트워크 계층 구조
네트워크 :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수신자 또는 기기에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를 말한다.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때 약속한 규칙에 따라야 하는데, 이를 프로토콜 이라고 한다.
거리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LAN : 근거리 네트워크로써 한 건물 또는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네트워크
WAN : 광대역 네트워크로써 국가 대륙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이다. LAN에 비래 전송 거리가 넓고, 라우팅 알고리즘이 필요함, 거리에 제약이 없으나 다양한 경로를 지나 정보가 전달되므로 LAN보다 속도가 느리고 에러율도 높음
데이터 교환 방식
회선 교환 방식 : 물리적 전용선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달 경로가 정해진 후 동일 경로로만 전달된다.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는 대역폭이 고정되어 안정적인 전송률을 확보할 수 있다.
패킷 교환방식 : 패킷이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현재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정보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한 뒤 각각의 패킷에 송수신 주소 및 부가 정보를 입력한다.

  1. 물리 계층
    어떤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기본 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기술들로 구성됨
    네트워크의 높은 수준의 기능의 논리 데이터 구조를 기초로 하는 필수 계층, 다양한 하드웨어 기술이 접목되어 있기에 OSI 아킽ㄱ처에서 가장 복잡한 계층으로 간주된다.
    주요 장비 및 기술 : 허브, 리피터
  2. 데이터링크 계층
    장치 간 신호를 전달하는 물리 계층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주변 장치들 간 데이터를 전송한다.
    주소 할당을 통해 물리 계층으로부터 받은 신호들이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올바르게 안착할수 있도록 함
    오류 감지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오류가 포함되는지를 감지한다. 오류가 감지되면 데이터 링크 계층은 해당 데이터를 폐기한다.
    주요 장비 및 기술: 브리지, L2스위치
  3.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여러개의 노드를 거칠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oS)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라우팅, 흐름 제어, 세그멘테이션, 오류 제어, 인터네트워킹 등을 수행한다
    연결 모델: 비연결 지향 통신
    호스트 주소 할당: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는 고유 주소를 갖추어야 한다.
    프로토콜: ICMP, IGMP, ARP
    TCP/IP 모델과의 관계
    인터넷 계층을
    주요 장비 및 기술: 라우터, L3 switch
  4. 전송 계층
    네트워크 구성 요소와 프로토콜 내에서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 계층은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 그리고 다중화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로토콜
    TCP : 패킷검사를 확실하게 함
    UDP : 패킷검사를 일부만 함
  5. 세션 계층
    세션 연결의 설정과 해제, 세션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한다.
    세션계층의 중요한 기능에는 동기화가 있다. 동기란 통신 양단에서 서로 동의하는 논리적인 공통처리 지점으로써, 동기점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기점이 설정된다는 의미는 그 이전까지의 통신은 서로 완벽하게 처리했다는것을 뜻한다.
  6. 표현 계층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 계층으로부터 덜어 준다. MIME인코딩이나 암호화 등의 동작이 이 계층에서 이루어진다.
  7. 응용 계층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는 관련된 응용 프로세스들 사이의 전환을 제공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