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운영체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CLI와 GUI가 있다.
– CLI (Command Line Interface) : 사용자가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는 방식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마우스로 화면을 클릭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방식
· 초기 운영체제들은 CLI 기반의 운영체제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마우스 기반의 제어 시스템인 GUI가 개발되며 CLI의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 현재는 오픈소스 기반의 개발 환경이 급격히 늘어나며 GitHub 등의 사용이 증가하여 CLI기본 개념과 명령어들의 중요성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② CLI 기본 명령어
1) 윈도우
· CLI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Command창이 필요하다.

2) 리눅스/유닉스
· 명령어 쉘에서 입력할 수 있다.
· 쉘이란 컴퓨터 내부를 관리하는 커널과 사용자 간을 연결하는 창이다.

3) 리눅스 티렉토리 구조
· 리눅스 디렉토리란 윈도우의 폴더와 같은 개념이다.
· 기본적으로 윈도우에서는 \를 사용하고 리눅스에서는 / 를 사용한다.

4) CLI 대표 명령어

③ GUI 기본 명령어
· 윈도우 내에서 파일을 이동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 등 모든 것이 GUI 명령에 해당한다. 메모리나 디스크 제어 등이 필요할 경우에는 제어판에서 필요 기능을 선택하여 명령을 내릴수 있다.

· 윈도우 단축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