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함이란?
결함은 프로그램과 명세서 간의 차이, 업무 내용의 불일치이다.
결함은 기대 결과와 실제 관찰 결과 간의 차이이다.
사용자가 기대하는 타당한 기대치를 시스템이 만족시키지 못할 때 변경이 필요한 모든 것을 결함이라고 한다.
결함 관리 프로세스

①결함 관리 계획 : 전체 프로세스에서 결함 관리에 대한 일정, 인력, 업무 프로세스를 확보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②결함 기록 : 테스터는 발견된 결함에 대한 정보를 결함 관리 DB에 기록한다.
③결함 검토 : 등록된 결함에 있어서 주요 내용을 검토하고, 결함을 수정할 개발자에게 전달한다.
④결함 수정 : 개발자는 할당된 결함의 프로그램을 수정한다.
⑤결함 재확인 : 테스터는 개발자가 수정한 내용을 확인하고 다시 테스트를 수행한다.
⑥결함 상태 추적 및 모니터링 활동 : 결함 관리 팀장은 결함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대시보드 또는 게시판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⑦최종 결함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발견된 결함에 대한 내용과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보고서를 작성하고 결함 관리를 종료한다.
결함의 상태 및 추적

①결함 등록 : 테스터와 품질 관리 담당자에 의해 결함이 처음 발견되어 등록되었지만, 아직 분석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②결함 검토 : 등록된 결함은 담당 모듈 개발자, 테스터, 프로그램 리더, 품질 관리 담당자와 검토하는 상태이다.
③결함 할당 : 결함의 영향 분석 및 수정을 위해 개발자와 문제해결 담당자에게 할당된 상태이다.
④결함 수정 : 개발자에 의해 결함이 수정 완료된 상태이다.
⑤결함 조치 보류 : 수정이 필요한 결함이지만 현재 수정이 불가능해서 연기된 상태이며 우선순위, 일정 등을 고려하여 재 오픈을 준비하는 상태이다.
⑥결함 종료 : 발견된 결함이 해결되고 테스터와 품질관리 담당자에 의해 종료 승인을 한 상태이다.
⑦결함 해제 : 테스터, 프로그램 리더, 품질 관리, 담당자가 결함을 검토한 결과, 결함이 아니라고 판명된 경우이다.
결함 분류
결함 유형은 시스템 결함, 기능 결함, GUI결함, 문서 결함 등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 시스템 결함
비정상적인 종료/중단, 응답 시간 지연, 데이터베이스 에러 등 주로 애플리케이션 환경과 데이터베이스 처리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말한다. - 기능 결함
사용자의 요구사항 미반영/불일치, 부정확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스크립트 에러, 타 시스템 연동 시 오류 등 기획, 설계, 업무 시나리오 단계에서 발생된 결함을 말한다. - GUI 결함
GUI 결함은 응용 프로그램의 UI 비일관성, 부정확한 커서/메시지, 데이터 타입의 표시 오류 등으로 사용자 화면 설계에서 발생된 결함을 말한다. - 문서 결함
기획자, 사용자, 개발자 간의 의사소통과 기록이 원할 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결함이다.
사용자의 온라인/오프라인 메뉴얼의 불일치, 요구 사항 분석서와 기능 요구 사항의 불일치로 인한 불완전한 상태의 문서로 발생한 결함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