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버전의 코드 네임
Android는 알파벳 순서대로 디저트의 이름을 붙여 코드 네임으로사용하였으나 2019년 9월 공개된 버전 10부터는 코드 네임 없이 버전만 명시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Android 버전 1.0은 공식적인 코드 네임이 없으며, 1.1은 프로젝트 매니저(PM)가…
Android는 알파벳 순서대로 디저트의 이름을 붙여 코드 네임으로사용하였으나 2019년 9월 공개된 버전 10부터는 코드 네임 없이 버전만 명시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Android 버전 1.0은 공식적인 코드 네임이 없으며, 1.1은 프로젝트 매니저(PM)가…
CLI 기본 명령어 쉘(Shell)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주요 기본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ls - 현재 위치의 파일 목록 조회 chmod - 파일의 보호 모드를 설정하여 파일의 사용 허가를 지정한다.…
CLI 기본 명령어 명령 프롬프트(Command)창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주요 기본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ASSOC - 파일 확장명 연결을 보여주거나 수정합니다. (association) ATTRIB - 파일 속성을 표시하거나 바꿉니다. (attirbute)…
운영체제는 기능별로 제어 프로그램과 처리 프로그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 (Control Program) 감시 프로그램 (Supervisor Program) :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과 시스템 전체의 작동 상태를감시, 감독하는 프로그램 작업 제어 프로그램…
운영체제의 경우 크게 임베디드, 서버, 모바일, 데스크톱의 4개의 시장으로 나뉘어 있다.임베디드의 경우 리눅스 계열, 서버는 유닉스 계열, 모바일은 안드로이드, 데스크톱은 윈도우가 점유율이 가장 높다. 출처 : tistory
운영체제의 목적에는 처리능력 향상, 사용 가능도 향상, 신뢰도 향상, 반환 시간 단축 등이 있다.처리능력, 반환시간, 사용가능도, 신뢰도는 운영체제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처리능력(Throughput) :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