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쥴링(Scheduling)

스케줄링은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실행될 때 필요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해당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이를 수행하는 것을 스케쥴러(Scheduler)라고 한다.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완료될 때 까지 프로세스는 여러 종류의 스케줄링 과정을거치게 된다. 프로세스…

Continue Reading스케쥴링(Scheduling)

프로세스 상태 전이

프로세스 상태 전이는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동안 프로세스의상태가 변하는 것을 의미하며, 프로세스의 상태를 다음과 같이 상태전이도로 표시 할 수 있다. 프로세스의 상태는 제출, 접수, 준비, 실행, 대기(보류) 상태로 나눌…

Continue Reading프로세스 상태 전이

프로세스(Process)의 정의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처리기, CPU)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프로그램, 즉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작업(Job) 또는 태스크(Task)라고도한다.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여러 형태로 정의할 수 있다. 실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 프로시저가…

Continue Reading프로세스(Process)의 정의

기억장치 관리

기억장치의 관리 전략의 개요 기억장치의 관리 전략은 보조기억장치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주기억장치에 적재시키는 시기, 적재 위치 등을 지정하여 한정된주기억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기억장치 관리 전략 종류에는 반입(Fetch) 전략, 배치(Fetch) 전략,배치(Placement)…

Continue Reading기억장치 관리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의 개요

운영체제를 제어하는 방법은 크게 CLI와 GUI로 구분할 수 있다. CLI(Command Line Interface)는 키보드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여 작업을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키보드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마우스로 아이콘이나…

Continue Reading운영체제 기본 명령어의 개요

LINUX의 개요 및 특징

LINUX는 1991년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가 UNIX를 기반으로 개발한운영체제이다. 프로그램 소스 코드가 무료로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다양한 플랫폼에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재배포가가능하다. UNIX와 완벽하게 호환된다.…

Continue ReadingLINUX의 개요 및 특징